2024 | 09 | 28
23.3℃
코스피 2,649.78 21.79(-0.82%)
코스닥 774.49 4.69(-0.6%)
USD$ 1,329.7 1.3
EUR€ 1,486.0 7.3
JPY¥ 917.3 -0.7
CNH¥ 189.4 -0.1
BTC 87,032,000 807,000(0.94%)
ETH 3,551,000 73,000(2.1%)
XRP 779.1 1.5(0.19%)
BCH 474,950 3,150(-0.66%)
EOS 721.7 7.3(1.02%)
  • 공유

  • 인쇄

  • 텍스트 축소
  • 확대
  • url
    복사

중소 건설사들 위기…미분양·고금리에 흔들

  • 송고 2023.04.11 14:25 | 수정 2023.04.11 14:32
  • EBN 김창권 기자 (kimck2611@ebn.co.kr)

올 1분기 폐업 신고한 건설사만 945곳, 전년 대비 16% 증가

도급순위 100대 기업들도 법정관리 신청하는 등 위기감 고조

서울 강동구 둔촌주공아파트 재건축 현장의 모습.ⓒ연합뉴스

서울 강동구 둔촌주공아파트 재건축 현장의 모습.ⓒ연합뉴스

최근 자금난을 겪고 있는 중견·중소 건설사들이 지난해부터 시작된 부동산 경기 하락과 PF(프로젝트파이낸싱) 시장 경색으로 자금난이 이어지자 속속 폐업이나 법정관리에 들어가고 있다.


11일 국토교통부 건설산업지식정보 시스템(KISCON)에 따르면 올해 1~3월 전국 종합·전문건설사 중 총 945곳이 폐업신고를 했다. 이는 작년 동기(812건) 대비 16.3%나 증가한 수치다.


건설사들의 폐업이 증가하는 데는 부동산 시장 침체와 건설 원자재·금리 인상까지 겹치면서 자금난에 봉착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10월 강원도가 레고랜드 조성을 위해 지급 보증한 2050억원 규모의 PF ABCP(자산유동화기업어음)가 부도 처리되면서 채권시장 경색 등 금융시장에 영향을 미쳤다. 이후 채무불이행에 빠질 수 있다는 공포가 단기자금시장을 덮쳤고 건설업계가 추진하던 부동산 PF 대출에도 영향이 생기면서 건설사들이 자금난에 시달린 바 있다.


당시 레고랜드 사태로 롯데건설은 유동성 위기를 맞았다. 롯데건설의 PF 우발채무 규모는 약 6조7000억원 규모에 달했는데, 롯데건설은 ABCP 차환발행이 막히자 유상증자 2000억원을 비롯해 롯데케미칼, 롯데정밀화학, 롯데홈쇼핑 등 그룹 관계사 차입금 등으로 1조원이 넘는 자금을 조달받아 급한 불을 껐다.


문제는 롯데건설의 경우 롯데그룹 계열사로부터 지원을 받아 유동성 위기를 벗어날 수 있었지만, 자금난을 겪는 중소 건설사들의 경우 금융권으로부터 대출이 나오지 않아 폐업이나 법정관리를 신청하고 있는 것이다.


건설업계에 따르면 도급순위(시공능력평가) 109위인 대창기업이 지난주 법원에 법정관리를 신청했다. 자체 공동주택 브랜드로 ‘줌(ZOOM)’을 보유한 대창기업은 1953년 설립돼 70년을 넘긴 중견 종합건설사로 지난해 도급순위에서 109위를 기록했다.


그러나 지난해부터 공사미수금과 유동부채가 크게 늘면서 재무 건전성이 크게 악화하자 법정관리를 신청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 대창기업의 작년말 기준 자본 431억원, 부채 1757억원으로 부채비율은 408%에 달한다.


더 큰 문제는 건설사들의 법정관리 신청이 빈번해지고 있다는 점인데, 지난 2월 도급순위 83위인 대우조선해양건설이 서울회생법원으로부터 회생절차 개시 결정을 받았고 지난달에는 범현대가 정대선씨가 운영하는 도급순위 133위 HN Inc(에이치엔아이엔씨)가 법정관리를 신청하기도 했다.


지난해 부동산 시장 악화로 지방 건설사 부도 사례가 일부 전해지곤 있지만, 도급순위 100대 건설사들의 부도는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클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비교적 자금력이 탄탄한 건설사들임에도 유동성 위기를 겪었던 만큼 미분양이 심각한 지방 중소건설사들의 폐업 위기는 더욱 고조될 수 있다는 것이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2009년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가 떠오를 만큼 건설경기가 안 좋다 보니 당장 유동성에 문제를 겪는 중소건설사들이 폐업에 들어가는 것 같다”며 “중소건설사들의 경우 당장 얼마 안 되는 금액임에도 대출이 되지 않아 위기를 넘기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고 말했다.


결국 건설경기 침체가 이어지는 가운데 건설사들의 시공 물량이 미분양으로 남으면서 자금경색 현상이 이어질 수 있다고 봤다.


조주현 건국대 부동산학과 명예교수는 “부동산 PF에 대한 부실이 커질 것을 우려한 금융기관이 대출을 보다 민감하게 바라보면서 고금리에도 리스크를 감당하려는 곳이 줄었다”며 “글로벌 경기 침체와 함께 부동산 시장이 미분양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만큼 한계 기업들의 경우 오래 버티기는 쉽지 않을 것 같다”고 설명했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체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황

코스피

코스닥

환율

KOSPI 2,649.78 21.79(-0.82)

코인시세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비트코인캐시

이오스

시세제공

업비트

09.28 11:17

87,032,000

▲ 807,000 (0.94%)

빗썸

09.28 11:17

86,994,000

▲ 802,000 (0.93%)

코빗

09.28 11:17

87,010,000

▲ 700,000 (0.81%)

등락률 : 24시간 기준 (단위: 원)

서울미디어홀딩스

패밀리미디어 실시간 뉴스

EBN 미래를 보는 경제신문